1. 사용자로부터 두 개의 정수를 받고 뺄셈과 곱셈 연산의 결과를 출력해주세요.
package practice.Practice.src;
import java.util.Scanner;
public class Practice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Scanner sc = new Scanner(System.in);
System.out.print( " 두개의 정수를 입력 하세요 : ");
int a = sc.nextInt(); // 2개의 정수 중 한개의 정수를 발생
int b = sc.nextInt(); // 2개의 정수 중 나머지 한개의 정수를 발생
System.out.println(" 뺄셈의 결과 : " +(a-b)); // 결과 정수값을 소가로로 묶어주지 않으면 문자열로 취급한다.
System.out.println(" 곱셉의 결과 : " +(a*b));
// 문자열 끝나는 옆에다가 + 를 넣어주는 이유는 정수 결과값을 나타내게 하기 위해서이다.
}
}
|예제문1. 프로그램 실행 결과|
2. 사용자로부터 세 개의 정수를 입력받은 다음에 곱과 합을 순서대로 진행해서 그 결과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
import java.util.Scanner;
public class Practice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Scanner sc = new Scanner(System.in);
System.out.print (" 3개의 정수를 입력하세요");
int x = sc.nextInt():
int y = sc.nextInt();
int z = sc.nextInt();
System.out.println("곱한 뒤 덧셈을 한 값" + (x*y+z));
}
}
|예제문2. 프로그램 실행 결과
3. 사용자로부터 국어,영어,수학 점수를 입력받게 한 뒤 합계 및 평균을 나오게 작성
public class Practice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// 연산문 예제3
// 국어,영어,수학 변수를 설정하고
// 합계와 평균을 계산해서 결과값이 나오는 프로그램 작상
Scanner sc = new Scanner(System.in);
int kor, eng, mat, total;
double aver;
System.out.print(" 국어 점수를 입력하세요 ");
kor = sc.nextInt();
System.out.print(" 영어 점수를 입력하세요 ");
eng = sc.nextInt();
System.out.print(" 수학 점수를 입력하세요 ");
mat = sc.nextInt();
total = kor + eng + mat;
aver = (kor + eng + mat) / 3;
System.out.printf(" 총점수 %d\n ", total);
System.out.printf(" 평균 %.2f\n ", aver);
}
}
|예제문3. 프로그램 실행 결과
4. 사용자로부터 국어,영어,수학 점수를 입력받게 한 뒤 합계 및 평균 그리고 학점 나오게 작성
// 90점 이상이면 A / 80점 이상이면 B / 70점 이상이면 C / 60점 이상이면 D / 그외 나머지는 F
package practice.Practice.src;
import java.util.Scanner;
public class Practice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Scanner sc = new Scanner(System.in);
int kor, eng, sci, total;
double aver;
System.out.print("국어 점수를 입력하세요 : ");
kor = sc.nextInt();
System.out.print("영어 점수를 입력하세요 : ");
eng = sc.nextInt();
System.out.print("과학 점수를 입력하세요 : ");
sci = sc.nextInt();
total = kor + eng + sci;
aver = (kor + eng + sci) / 3;
System.out.println(" 총점수" +total);
System.out.printf(" 평균 %.2f\n" ,aver);
if (aver > 100) System.out.print("에러");
{
if (aver >= 90) {
System.out.println(" 학점 A ");
}
else if (aver >= 80 && aver < 90) {
System.out.println(" 학점 B ");
}
else if (aver >= 70 && aver < 80) { // ||(버티컬)을 넣으면 82점이 학점 B를 받아버리는 기이한 현상이 나온다.
System.out.println(" 학점 C ");
}
else if (aver >= 60 && aver < 70) {
System.out.println(" 학점 D ");
} else {
System.out.println(" 학점 F ");
}
}
}
}
|예제문4. 프로그램 실행 결과
5. 국어.영어,수학,사회 점수를 입력받고 합계 및 평균을 구한뒤 4과목의 점수와 평균을 가지고 합격 여부를 작성.
// 합격 여부 : 4과목 점수가 각각 50점 이상 그리고 평균 65점 이상이어야 합격, 2가지 조건이 안되면 불합격 처리
package practice.Practice.src;
import java.util.Scanner;
public class Practice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Scanner sc = new Scanner(System.in);
int kor, eng, mat, com, total;
double aver;
System.out.print("국어 점수를 입력하세요 : ");
kor = sc.nextInt();
System.out.print("영어 점수를 입력하세요 : ");
eng = sc.nextInt();
System.out.print("수학 점수를 입력하세요 : ");
mat = sc.nextInt();
System.out.print("사회 점수를 입력하세요 : ");
com = sc.nextInt();
total = kor + eng + mat + com;
aver = (kor + eng + mat + com) / 4;
System.out.printf(" 총점수 %d\n ", total);
System.out.printf(" 평균 %.2f\n", aver);
if (kor > 50 && eng >50 && mat > 50 && com >50 && aver >= 65){
System.out.println("합격 여부 : 합격 ");
} else {
System.out.println("합격 여부 : 불합격 ");
}
}
}
|예제문5. 프로그램 실행 결과
'프로그래밍 언어 복습 > 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JAVA 복습 : 반복문 while / for문 (0) | 2022.06.19 |
---|---|
Java 복습 : 조건문 예제 풀이 (if,else if, else,알람시계,switch) (0) | 2022.06.18 |
Java 복습 : 연산자 예제 총 5문제 풀이 (기초,if문 포함) (0) | 2022.06.18 |
C/C++ 주석 및 자료형 (복습) (0) | 2021.11.26 |
댓글0